- 음식 알레르기
- 음식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
- 음식 알레르기 진단
- 주요 음식 항원
- 흡입 알레르기
- 흡입 알레르기와 아토피 피부염
- 흡입 알레르기 진단
- 주요 흡입 항원
- 초진예약/검사결과
- 초진예약
- 내원환자 검사결과 확인
- 증명서 발급시 안내사항
음식 알레르기로 인한 영유아 아토피 피부염 치료의 목표는 성장하며 면역반응 조절이상을 완전히 극복하고 구강관용(oral torelance)을 획득하는 것입니다.
원인항원의 차단과 면역계의 성장을 유도해 면역계를 정상화시킵니다. 또한, 극복되는 계란, 우유 알레르기를 가진 경우 광범위 가열하여 알레르기성을 변화시킨 계란, 우유 치료제를 이용하여 면역계의 성장을 가속화시킵니다.
치료 후 검사 상 알레르기 반응의 비정상적 상승,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감작도는 모두 정상화되며 이것은 면역반응 조절이상이 소멸되었음을 의미합니다.
면역치료 후 기존에 감작되었던 원인항원에 대한 IgG4항체와 IgE항체의 비율상승이 관측되며 역치는 상승하게 됩니다. 극복되지 않는 알레르기가 대상이 되므로 면역치료를 한다 할지라도 해당 알레르기가 극복되는 것은 아니지만 의도하지 않은 노출에 의한 즉시성 반응이 발생할 가능성이 낮아지게 되어 삶의 질이 상승하게 됩니다.
면역치료 후 검사 상 알레르기 반응, 알레르기 항원에 대한 감작도 등은 면역치료 후 모두 하락하지만 정상화 되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항원에 노출되더라도 발생하는 증상이 정도가 과거에 비해 낮아져 일상생활에는 지장이 없는 상태가 됩니다.
성인 아토피 피부염은 영유아 아토피 피부염과는 다르게 이미 오랜 시간동안 알레르기 항원에 의한 면역반응 조절이상에서 발생한 반복적인 피부염 증상으로 피부의 조직학적 변형인 상태인 태선화(lichenification)가 진행한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이 경우 태선화된 피부의 피부장벽기능은 비가역적으로 저하되어 있어 영유아 아토피 피부염과는 다르게 모든 문제를 해결할 수는 없습니다. 그러므로 아토피 피부염은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